분류 전체보기2541 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 양도성예금증서, 양적완화 정책이란? 양도성 예금증서 양도성 예금증서는 CD 라고도 한다. (CD;negotiable Certificate of Deposit) 이는 은행의 정기예금증서에 양도성을 부여한 것이다. 일반적인 예금증서는 개인이나, 기업이 은행에 돈을 맡기고 이름이 써있는 예금증서는 받게 된다. 따라서 일반 예금증서는 양도가 불가능(거래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증서를 무기명으로 작성하여 거래가 가능하게 되었다고 보면 된다. 이 증서만 가지고 증서를 발행한 은행을 가면 (만기 시) 해당 증서에 써있는 금액을 받을 수 있다. 위 그림은 일반적인 상황의 예금이다. 양도성 예금증서도 사실 다른건 없다. 돈을 맡기고 증서를 받는 것이다. 보통은 만기 30일 수준으로 단기 시장에서 활용되는 상품이다. CD는 크게 대고객 CD와, 은행.. 2023. 1. 1. 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 실질임금, 애그플레이션이란? 실질임금 경제 용어를 살펴보면 실질와 명목이라는 단어가 자주 쓰인다. 명목이라는 의미는 절대적인 수치만 보면 된다. 반면 실질이라는 용어는 실제적인 의미를 가진다는 내용으로 상대적인 수치의 의미를 보인다. 임금은 근로자가 노동을 통해 받는 금액이다. 그러면 어떠한 것을 고려하여 실질임금이 정해질까? 역시 물가이다. 임금이 많이 올랐어도 그것보다 물가가 훨씬 더 오른다면 실질적으로는 임금이 감소한 것이나 다름이 없다. 물가가 오른것과 상관없이 임금 수치만 보는 것은 명목임금항목이다. 이러한 실질임금은 구매력을 측정하는데 주요한 지표가 된다. 기존에 100만원 정도가 구매력이었다면 임금 상승 및 물가 상승을 따져 새로운 실질임금을 구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구매력을 추정할 수 있다. 임금 상승이 물가 상승.. 2022. 12. 26. 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 신용경색, 신주인수권부사채란? 신용경색 신용경색이란, 금융기관 등에서 돈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서 어려움을 겪는 현상을 의미한다. 돈은 돌고 돌아야 하는데 어디선가 모종의 이유로 막히게 되면 전체적인 흐름이 끊겨 경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돈의 흐름이 막혔다는 것은 자금의 절대량이 부족하거나, 자금의 통로가 막혔을 경우가 된다. 뭐가 되었든 돈흐름이 멈추었다는 것으로 기억하면 되겠다. 특히나 사업체간의 자금 흐름이 끊긴다면 제품이나 서비스의 흐름도 멈추게 되고, 피해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게 된다. 대표적인 예시가 이번 둔촌주공 재건축 사례일 것이다. 건설사쪽에 대금을 지불하지 못하여 공사현장이 한동안 멈추었던 적이 있었다. 그러면 건설사는 돈을 못 받았기 때문에 유치권을 걸게되고 조합(시행사)으로부터 대금을 받지 못하면 건.. 2022. 12. 23. 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 스톡옵션, 시뇨리지란? 스톡옵션 스톡옵션이란, 스톡 + 옵션이다. 스톡은 주식을 의미하며, 옵션은 파생상품의 그 옵션을 의미한다. 따라서 주식을 사거나 팔수 있는 권한을 매매하는 것이다. 보통은 고용주가 근로자에게 발행하며, 이 경우는 종업원 주식매수선택권(employee stock option)으로 부르며, 임직원이 일정 기간이 지나면 자사 주식을 매입 또는 매도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옵션(option)이란 거래당사자들이 미리 정한 가격(행사가격, strike price)으로 장래 특정 시점에 일정 자산을 팔거나 살 수 있는 권리를 매매하는 계약을 말한다. 옵션은 2종류가 있다. 매입권리가 부여되는 콜옵션(call option)과 매도권리가 부여되는 풋옵션(put option)이다. 일반적으로 스톡옵션은 임직원이 자사.. 2022. 12. 19. 이전 1 ··· 625 626 627 628 629 630 631 ··· 6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