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541

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 수요탄력성, 스왑이란? 수요탄력성 수요탄력성은, 상품의 가격 변화비율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율을 의미한다. 즉, 수요가 변한 비율에 비해, 가격의 변화 비율은 얼마나 되는가? 이게 수요 탄력성이다. 탄력성은 반응의 크기를 보기 위한 수치라고 볼 수 있다. 이전에 이와 유사한 용어인 공급탄력성에 대해서도 알아봤었다. 2022.11.07 - [경제/경제금융용어 700선] - 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 공급탄력성, 공매도란? 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 공급탄력성, 공매도란? 공급 탄력성 가격이 결정되는 것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이다. 흔히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만나는 지점이 시장의 가격이라는 정의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아래 차트는 수요 공급 곡선을 그린 eco.forliberty.co.kr 가격이 결정되는 것은 수요와 공급에 .. 2022. 12. 18.
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 선물거래, 소득주도성장이란? 선물거래 선물 거래는 영어로 futures transactions이다. 계약은 현재 하지만 물건과 거래대금은 미래에 주고받는 거래이다. 반대로 계약의 성립과 동시에 상품의 인수와 결제가 이루어지는 현물거래와 구분된다. 선물거래대상이 되는 상품에는 곡물, 귀금속, 원유 등 일반 상품과 통화, 채권, 주식 등 금융상품이 있다. 선물 거래의 특징으로는 1. 거래소에서 정한 조건으로 거래가 이루어지므로 거래의 유동성이 높다. 2. 모든 거래자는 거래 이행을 보증하기 위해 일정 수준의 증거금을 예치해야 한다. 3. 거래소에서 거래가 이루어지면 별도의 청산소에서 거래를 보증하기 때문에 계약불이행 위험이 거의 없다. 4. 최종선물가격을 기준으로 가격변동에 따른 당일 손익을 매일 정산한다. 그러면 선물거래를 왜 할까?.. 2022. 12. 17.
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 상장지수펀드, 서킷브레이커란? 상징지수펀드 상장지수펀드는 ETF 라고도 하며, 주식, 채권, 통화, 원자재 등 가격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펀드의 지분을 상장하여 일반주식처럼 거래가 가능한 금융 상품이다. 일반 펀드와 달리 개인 주식거래계좌를 통하여 쉽게 주식처럼 거래가 가능하고, 증권거래세가 면제되고, 거래비용도 낮고 소액으로도 분산투자가 얼마든지 가능하다. 또한 여러 종목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분산투자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ETF 상품 중에는 레버리지 ETF, 지수변동에 반대로 차트가 그려지는 Inverse ETF 등 다양한 상품들도 있다. ETF 상품 명을 보면 대략 어떠한 상품인지 알 수 있다. 크게 3부분으로 나누어서 상품을 살펴볼 수 있는데, 아래 예시를 참고하자. 맨앞 KODEX 부분은 ETF 운용사의 이름이다. K.. 2022. 12. 16.
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 분수효과, 빅맥지수란? 분수효과 분수효과는 trickle-up effect, fountain effect 이라고 하며, 정부가 경제정책으로 저소득층과 중산층의 소득을 늘리게 하여 이들의 경제활동이 늘어나게 하고, 이것이 생산과 투자로 이어지고, 전체 경제활동이 살아나고 이로 인하여 고소득층의 소득도 늘어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효과에 분수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분수의 물이 아래에서 위로 솟아나는 것 처럼, 저소득층(아래쪽)에서 시작된 경제활동으로 인해 이러한 순환 효과가 고소득층까지 올라가면서 전체 경기도 좋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주장은 영국의 경제학지인 케인즈(J. Keynes)가 경제 활성화에 수요를 높이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한계소비성향이 높은 저소득층과 중산층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논리이다. 여기서 한.. 2022. 1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