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541

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 부채담보부증권, 부채비율이란? 부채담보부증권 부채담보부증권은 영어로 CDO(Collateralized Debt Obligation)이다. 부채를 담보로 새로운 채권을 만들어낸 것이다. 이러한 시장경제에서는 무엇이든지 거래 당사자들끼리 화폐로 인정할 수 있다면 거래가 된다. 거기에 적절한 이자가 붙고 신용이 있다면 거래가 안될 이유가 없다. 이러한 채권을 발행할 때 기초자산이 필요하게 되는데, 기초자산으로 사용되는 것이 회사채, 대출채권등이 있다. - 회사채를 기초자산으로 하면 회사채 담보부 증권(CBO;Collateralized Bond Obligation) - 대출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하면 대출채권 담보부 증권(CLO;Collateralized Loan Obligation) 이러한 부채담보부증권 관련된 채권 흐름은 예시로 작성해보았다.. 2022. 11. 29.
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 본원통화, 부가가치란? 본원통화 통화는 화폐의 양이다. 일차적으로는 중앙은행(대한민국의 경우는 한국은행)에서 공급한다. 이는 통화량의 원천이 되는 통화라 하여 본원통화(RB; Reserve Base)라고 한다. 본원통화는 민간보유현금과 금융기관의 지급준비금의 합계이다. 지급준비금은 금융기관에서 중앙은행에 맡겨놓은 현금이다. 이것은 의무이다. 따라서 사용할 수는 없는 현금이 중앙은행에 있는 것이다. 지급준비금은 비율로 제한을 하고 있으며 중앙은행은 이 비율을 조정하는 것이 통화량 조절의 하나의 수단이다. 중앙은행이 증권을 매입하거나, 금융기관에 대출을 하면 현금이 금융기관으로 가게 된다. 그러면 금융기관 지급준비금이 늘어나 본원통화가 증가한다. 그리고 중앙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정부예금을 정부가 인출하면 본원통화가 공급된다. 중앙.. 2022. 11. 28.
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 변동금리, 보호무역주의란? 변동금리 변동금리란 시장금리를 반영하여, 주기별로 약정한 금리가 변하는 것을 말한다. 반대로 고정금리란 최초 약정한 금리가 만기 때까지 유지되는 금리를 의미한다. 대출을 받는데, 변동금리라면 체크해야할 부분은 크게 3가지이다. 만기, 변동주기, 약정금리 연동방식이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예시를 들어보자. 1) 1년 만기 2) 3개월 변동주기 3) 약정금리가 CD금리 + 0.5% 그러면 위 예시에서는 CD 금리에 따라서 금리가 변동이 된다. 1년이 만기이기 때문에 처음, 3개월 뒤, 6개월 뒤, 9개월 뒤 변하게 된다. 여기서 한가지 더 체크를 해보자. 바로 CD 금리라는 부분이다. 위의 변동 금리는 CD 금리에 의해서 변동된다. 변동금리에 연동되는 지수 위에서 CD금리 처럼 변동금리에 연동될.. 2022. 11. 27.
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 뱅크런, 베블런효과란? 뱅크런 뱅크런이란, 예금자들이 은행으로 달려가서 예금을 인출하는데, 그 규모가 대규모인 상황을 뱅크런이라고 부른다. 즉, 예금을 맡긴 사람들이 자신의 돈에 불안함을 느껴(이를테면 은행이 부도가 날 것 같은 느낌.) 은행으로 몰려가 맡긴 돈을 찾아가려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는 금융 시장 상황이 불안하거나 은행의 경영 및 건전성 등에 문제가 발생하면 나타날 수 있으며, 은행은 지급할 수 있는 자금이 점점 부족해지게 되어 패닉 상태에 이를 수 있다. 예금보험공사는 뱅크런과 이로 인한 금융불안정을 방지하기 위해 예금자보호법에 의해 5,000만 원까지의 예금을 보호해주고 있다. 머지포인트 사태 엄밀하게 뱅크런은 아니었지만, 2021년도에 뱅크런 비슷한 사례가 있었다. 머지포인트 사태이다. 머지포인트앱은 쿠폰.. 2022. 1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