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41 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 외환보유액, 워크아웃이란? 외환보유액 외환보유액(Official Reserve Assets)은 중앙은행이나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대외지급준비 자산을 의미한다. 이 자산은 긴급한 상황에 사용하기 위한 비상금과 같은 성격의 준비자산이다. 외환보유액은 환율 급등 시 외환시장 안정을 위한 재원으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금융기관의 해외차입이 어려워지는 위기 상황에서 중앙은행이 최종대부자(last resort)의 역할을 하기 위한 재원이 된다. 즉, 국제수지 불균형을 보전하거나 외환시장 안정을 위해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보유하고 있는 자산인 것이다. 여기서 최종대부자는 금융위기가 발생해 개별 금융기관이나 금융시장에 자금 부족 사태가 발생했을 때 위기 극복을 위해 최종적으로 자금을 공급해주는 기관을 말한다. 현실적으로 회폐의 독점적 발행권.. 2023. 1. 24. 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 예대율, 옵션이란? 예대율 예대율이란 단어에서 "예"는 예금을 의미하며, "대"는 대출을 의미한다. 즉, 예금 금액과 대출 금액의 비율이라고 볼 수 있다. 즉, 대출금 / 예수금으로 계산한 수치를 의미한다. 은행의 입장에서는 자금을 모아서 대출을 해 주는 것이 수익률이 좋을 것이다. 사실상 이자도 대출이자가 예금이자보다 높다. 따라서 CD 및 은행채 같은 시장성수신을 통하여 자금을 모으고, 이를 대출하여 수익성을 늘렸다. 하지만 이러한 자금조달 및 운용 행태는 주택담보대출 등 대출을 과도하게 늘려 부동산 버블을 야기하고, 은행의 경영 건정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었다. 이에 금융당국에서 2012년 6월부터 예금 범위내에서 대출을 하도록 예대율을 100% 이내로 규제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은행은 마음대로 대출의 양을 늘릴 수 .. 2023. 1. 15. 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 엥겔의 법칙, 역모기지론이란? 엥겔의 법칙 엥겔의 법칙은 독일의 통계학자 엥겔이 발견한 법칙이다. 가계 지출을 조사하여 지출이 어디로 향하는지에 대한 내용이다. 즉, 저소득 가계일수록 소비지출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고, 고소득 가계일수록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낮음을 발견한 법칙이다. 또한 가계 소비지출은 식료품비, 피복비, 주거비, 광열비, 문화비 등 크게 5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소득이 증가할수록 식료품비에 대한 지출비중은 하락하고 피복비, 주거비, 광열비에 대한 지출비중은 비교적 변동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문화비에 대한 지출비중은 소득의 증가에 따라 급속하게 증가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사실들을 엥겔의 법칙이라고 한다. 그리고 가계의 소비지출 중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중을 특히 엥겔계수라고 한다. .. 2023. 1. 10. 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 어음관리계좌, 연방준비제도/연방준비은행이란? 어음관리계좌 어음관리계좌는 고객이 맡긴 자금을 어음이나 우량채권 등에 운용하여 그 수익을 고객에게 돌려주는 대표적인 단기금융상품이다. 영어로는 CMA 라고 한다. (CMA;Cash Management Account) 사실 어음관리계좌라는 이름보다는 CMA 계좌로 더 많이 들어보았다. CMA 약정에 따라서 예치 자금을 MMF, RP 등에 투자하는 금융서비스 계좌로 고객의 계좌와 연동하여 수시 입출금, 급여이체, 신용카드 결제대금 납부 등의 부가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 MMF : Money Market Fund 이며, 단기 금융 펀드이다. 증권사나 투자신탁회사의 대표적인 단기금융상품이다. - RP : Repurchase Agreements 이며, 환매조건부 채권이다. 일정 기간 후에 다시 사는 조건으로.. 2023. 1. 2. 이전 1 ··· 624 625 626 627 628 629 630 ··· 6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