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41 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 물가지수, 뮤추얼펀드란? 물가지수 물가지수는 물가 + 지수가 결합된 용어이다. 물가는 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의 가격 및 서비스의 요금을 수치화 한 것으로 경제 생활에서 차지하는 중요도(비중)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이러한 개별 제품은 서로 거래단위나 규격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이들을 종합하여 비교하기 위해 지수의 개념을 넣었다. 기준년도의 가격 수준을 100으로 설정하고, 해당 년도를 지수화하여 물가지수를 수치화한다. 즉, 기준년도가 작년이라, 작년의 물가지수가 100이었고, 올해 측정해보니 110이라면 물가는 10%가 오른것이다. 물가는 경제 전체의 총공급과 총수요의 영향을 받아 변동한다. 일반적으로 가격이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 것 처럼 물가도 수요, 공급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총 수요에 영향을 주는 것은 통화량과 가계.. 2022. 11. 24. 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 명목금리, 무디스란? 명목금리 금리는 돈의 가치이다. 그런데 이 금리는 돈의 가치를 측정하는데 물가변동을 고려하느냐 안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진다. 즉, 명목금리는 물가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돈의 가치라고 할 수 있다. 반면, 물가변동을 고려한 금리는 실질금리라고 한다. 예를 들어, 은행에서 1년 만기 정기예금의 금리가 3%라고 하면, 명목금리가 3%가 된다. 여기서 1년 동안 물가상승률이 1% 라고 한다면 여기서 실질금리는 3% - 1%=2%가 된다. 피셔효과(Fisher) 위의 수식을 보면 (명목금리) - (물가상승률) = (실질금리) 가 된다. 여기서 양변에 물가 상승률을 더하면 결국 수식은 (명목금리) = (실질금리) + (물가상승률) 이 된다. 즉, 피셔효과란 금융 거래에서 명목금리는 실질금리에 예상 물가상승률을 더해서 .. 2022. 11. 22. 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 마이크로크레디트, 매몰비용이란? 마이크로 크레디트 마이크로 크레디트(Microcredit)란, 소액대출사업을 의미하는데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에서 금융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없는 빈곤층에게 지원된다. 소액 대출 뿐 아니라 여타 지원 활동을 지원하며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것이다. 마이크로 크레디트의 유래 마이크로크레디트는 방글라데시 치타공대학교 경제학 교수, 무하마드 유누스가 그라민 은행이라는 마이크로 크레디트 전담 은행을 설립한 데서 시작되었다. 유누스 교수는 인근 조브라 마을을 조사하던 중 농촌지역의 빈민층이 게으름 보다는 초기 자금이 부족하여 지속적인 빈곤함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초기 자금도 큰 액수가 필요한 것이 아님을 알게 되었다. 이를 알게된 유누스 교수는 사비로 이들에게 자금을 지원하게 되었다. 이것이 마이크로.. 2022. 11. 21. 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 레버리지, 만기수익률이란? 레버리지 레버리지 혹은 레버리지 효과는 부채를 일부 이용하는 투자방법으로 타인의 자본을 사용하여 투자의 효과를 높히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어떠한 자산을 구매하는데 100만원이 필요하다고 가정하자. 그런데 나에게는 10만원 밖에 없다. 그래서 90만원을 타인에게 빌려서 자산을 구매하였다. 그리고 1년 뒤에 그 자산은 150만원이 되었다. 그래서 그 자산을 팔아 150만원을 현금화 하였다. 그러면 여기서 투자금과 수익률을 계산해보자. 여기서 투자자의 투자금은 10만원이다. 그리고 투자금을 회수했을 때 자기자본은 60만원이 되었다. 그러면 수익은 50만원을 본 것이고, 이 금액은 투자금의 5배이다. 즉 500%의 수익률이다. (물론 부채에는 이자가 붙고, 자산을 구매하고 판매하는데 수수료 및 세금이 붙을 .. 2022. 11. 19. 이전 1 ··· 628 629 630 631 632 633 634 ··· 6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