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크본드
정크본드(Junk Bond)란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큰 기업들이 자금 조달을 목적으로 발행한 고수익, 고위험 채권을 의미한다. 정크라는 의미는 사전적으로 쓸모없는 물건, 폐물, 쓰레기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채권이지만 쓸모없는 물건의 채권이라는 의미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신용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회사가 발행한 채권이기 때문에 고위험으로 볼 수 있으나, 이러한 회사가 크게 성장한다면 고수익을 보장할 수 있다. 기대치가 없는 회사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크본드는 원리금 상환 불이행 위험도 크기 때문에 채권금리 또한 높다. 일반적인 채권금리에 가산금리가 더해진다.
이러한 정크본드 시장은 1970년대 중반 이후 기업의 매수 합병 및 구조조정 과정에서 다수의 기업들이 경영 악화와 부채 증가 등으로 투자부격적 등급으로 하락하면서 정크본드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의 정크본드 시장은 자산유동화증권(ABS; Asset-Backed Securities)과 관련이 있다. ABS를 설계할 때 신용보강을 위해 위험요소가 경감될 수 있도록 원리금 지급 우선순위에서 선순위와 후순위로 차등을 둔다. 이 때 선순위채는 기초자산에서 나오는 현금흐름이 부족할 경우 후순위채보다 원리금을 우선적으로 지급받게 되며, 일반적으로 후순위채는 정크본드시장에서 소화시키거나 자산보유자가 직접 인수하게 된다.
제로금리정책
제로금리정책이란 말 그대로 금리가 거의 0%에 가까운 수준으로 떨어뜨리는 통화정책이다. 여기서 금리는 단기금융시장에서 거래되는 초단기 자금의 금리를 의미한다. (한국과 일본의 콜금리, 미국의 페더럴펀드금리 등..)
중앙은행이 단기금리를 제로 근처로 유도하는 것은 시중에 돈을 풀겠다는 의미이다. 즉, 돈이 풀리게 되면 유동성이 풍부하게 되고, 금융경색 억제 및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함이다.
금리를 조절하는 정책은 시중의 유동성을 간접적으로 조절하는 정책이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직접적으로 개입하는 정책이 있는데, 이는 양적완화정책이다. 이는 직접적으로 개입하는 만큼 통화량 늘리는 방법에는 더 효과적이다.
양적완화정책은 정부가 금융자산 등을 직접 사들이는 방법으로 시장에 통화량 자체가 늘어난다. 영어로는 QE(Quantitative Easing) 이다. 보통 제로금리정책으로 금리를 낮추었으나, 경기부양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양적완화정책을 펼치게 된다.
일본의 경우 1999년 초 경기활성화를 위해 콜금리를 0.02%까지 낮추었으나, 기대만큼 투자 자금이 돌지 않았으며, 경기 부양이 되지 않았다. 이와 관련하여 2001년 3월 경기침체에서 벗어나기 위해 양적완화 정책을 처음으로 도입하였다. 또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 EU, 영국 등 국제적으로 도입이 확산되었다.
따라서 정부는 경기 상황을 주시하고, 경기 부양 및 물가 안정을 위해 금리를 낮출 수 있고,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금리를 조절하는 것은 정부가 경기에 개입을 하는 것이며 충격에 대한 완화를 위하여 경기에 대입한다고 볼 수 있다.
'경제 > 경제금융용어 700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 주가수익비율, 주가지수란? (0) | 2023.02.26 |
---|---|
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 장외시장, 전환사채란? (0) | 2023.02.06 |
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 자발적 실업, 장단기금리차란? (0) | 2023.02.05 |
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 이중통화채, 자기자본비율이란? (0) | 2023.01.29 |
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 원금리스크, 유동성이란? (0) | 2023.01.24 |
댓글